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변수 선언
- 데이터 타입의 우선순위
- 연습문제
- R 개요
- 정규표현식
- CSV
- length
- 문자열처리
- c()
- Data Structure
- :
- stringr
- 네이버 영화 댓글
- 함수
- data frame
- Crawling
- vector 비교
- 데이터 입출력
- scraping
- REP
- seq
- R 기초
- ROTTEN TOMATOES
- 데이터 타입
- vector 연산
- working directory
- Names
- factor
- TXT
- 스크래핑
- Today
- Total
목록Python/2. built in types (4)
study blog
Set type - { } 로 표현함 - dict는 {} 안에 key와 value로 구성 - set은 {}안에 요소만 들어감 a = {1,2,3} # cf. dict: a ={"name":"gildong","age":20} # dict 표현 중 key 없고 요소만 있는 경우 set이라고 함 print(type(a)) # - set이라는 자료구조는 기본적으로 순서가 없음.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저장장소 a = set([1,2,3,4,5]) # list -> set a = set({1,2,3,1,2,3,4,1,2}); print(a) # {1, 2, 3, 4} a = set('Hello'); print(a) # 문자열은 list와 유사 -> {'e', 'H', 'o', 'l'} # set의 연산 a = {1..
Mapping type(dict) - dict {key1:value1, key2:value2, ...} 형태 a = {"name":"홍길동","age":30} #JSON과 완전히 동일 print(type(a)) # - key와 value의 쌍으로 표현되는 자료구조 - key값은 불변의 값을 사용해야 함! (문자열 등) - list는 key로 사용할 수 없음! (리스트 안의 요소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) - tuple은 key로 사용할 수 있음! (불변) 1. dict 기본 # dict에 값 입력 a[10]="hohoho" # a가 리스트면 11번째 방에 hohoho넣어라 # 10 : key , hohoho: value print(a) # {'name': '홍길동', 'age': 30, 10: 'hoho..
# 자료구조 - Sequence 타입: list, tuple - Mapping 타입: dict - Set: set 1. Sequence Type 1) list - 임의의 객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- 기호로는 [ ] (대괄호)를 이용 myList = list() # 비어있는 list를 생성 myList = [] # list를 literal(코드상으로 표현)로 표현 myList = [1,2,3] # 3개의 값을 가지는 list를 생성 myList = [1,3.14,True,"아우성"] # 모든 데이터 타입 사용가능 myList = [10,["Show","me","the","money"],3.14,True] # list안에 list가능 (중첩구조) # list안에 또 다른 자료구조들을 넣을 수 있음..
Python Built-in Type (내장 데이터 타입) - Numeric 타입: int(정수), float(double)(실수), complex(복소수) - Text Sequence 타입: 문자열(str) - Bool 타입: True, False (bool) 1. Numeric 타입 - int(정수) - float(실수) - complex(복소수) a = 123 # 정수 b = 3.14159265358979 # 실수 c = 3.14E10 # 3.14* 10^10 (실수)(지수표현-> 작거나 큰 수 표현할 때) d = 1+2j # 복소수 e = 0o37 # 0o : 8진수 f = 0xFF # 16진수 # type() : data type을 알려줌 print(type(a)) # / : 나누기 div = ..